본문 바로가기
교육

2025년 전산회계 1급 및 2급, 전산세무 1급 및 2급 시험일정 및 시험정보 알아보기 (각 자격증별 시험과목, 전산세무회계의 필요성)

by mnjjyong 2025. 1. 16.

2025년 전산세무회계 시험과목 및 필요성

1. 응시자격 및 시험일정

회차 접수기간 장소공고 시험일 합격자발표
118회 01.02 ∼ 01.08 02.03 ∼ 02.09 02.09(일) 02.27(목)
119회 03.06 ∼ 03.12 03.31 ∼ 04.05 04.05(토) 04.24(목)
120회 05.02 ∼ 05.08 06.02 ∼ 06.07 06.07(토) 06.26(목)
121회 07.03 ∼ 07.09 07.28 ∼ 08.02 08.02(토) 08.21(목)
122회 08.28 ∼ 09.03 09.22 ∼ 09.28 09.28(일) 10.23(목)
123회 10.30 ∼ 11.05 12.01 ∼ 12.06 12.06(토) 12.24(수)

전산회계와 전산세무 자격증의 경우 특별한 응시자격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단, 부정행위자의 경우 향후 2년간 시험에 응시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025년 전산세무회계의 시험일정은 위 표와 같습니다. 1년에 6번의 전산세무회계 시험을 시행합니다. 2월, 4월, 6월, 8월, 9월, 12월에 시험이 있으며, 9월을 제외하고는 짝수 월에 시험이 시행됩니다. 보통 시험일로부터 한 달 전에 원서접수를 진행합니다. 마지막 날 접수기간은 오후 6시까지입니다. 다가오는 시험일로부터 일주일 전에 시험장소가 공고되는데, 원서접수기간 첫날에 빠른 접수를 한 사람은 원하는 지역의 시험장소를 선택할 수 있지만, 조금 늦게 원서 접수를 할 경우 원하는 시험장소가 마감되어 신청할 수 없고, 자동 배정으로 시험 장소를 신청해야 하는데, 이 경우 장소공고일에 본인의 시험장소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시험은 보통 주말에 시행됩니다. 시험시간의 경우 전산회계 2급은 오후 12시 30분에 시작하여 오후 1시 30분에 종료됩니다. 전산회계 1급은 오후 3시에 시작하여 오후 4시에 종료됩니다. 전산세무 2급은 오후 12시 30분에 시작하여 오후 2시에 종료됩니다. 전산세무 1급은 오후 3시에 시작하여 오후 4시 30분에 종료됩니다. 합격자발표는 시험일로부터 약 3주 뒤에 한국세무사회 자격시험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2. 전산회계 1급 & 2급 시험과목

전산회계 1급은 전문대학 수준, 전산회계 2급은 고등학교 상급 수준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전산회계 1급과 2급 시험은 이론시험과 실무시험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전산회계 1급 이론시험은 회계원리, 세무회계, 원가회계로 분류됩니다. 실무시험은 기초정보의 등록과 수정, 거래자료의 입력, 부가가치세 관련 자료 입력, 입력자료 및 장부 조회로 분류됩니다. 전산회계 2급 이론시험은 회계원리가 있으며, 실무시험은 기초정보의 등록과 수정, 거래자료의 입력, 입력자료 및 장부 조회로 구분됩니다. 전산회계 1급과 2급 모두 이론시험의 비중은 30%, 실무시험의 비중은 70%이며, 시험시간은 총 60분이 주어집니다. 이론시험은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실무시험은 세무사랑 실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3. 전산세무 1급 & 2급 시험과목

전산세무 2급은 전문대학 졸업 수준, 전산세무 1급은 4년제 대학 졸업 수준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전산회계 시험보다 전산세무 시험의 난이도가 더 높습니다. 전산세무 1급과 2급 역시 이론시험과 실무시험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전산세무 1급 이론시험은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회계로 분류되며, 실무시험은 재무회계와 원가회계의 거래자료와 결산자료 입력, 부가가치세 매입/매출거래자료 입력 및 부가가치세 신고서의 작성 및 전자신고, 원천제세, 법인세무조정으로 나누어집니다. 전산세무 1급의 경우 법인세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산세무 1급 응시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분야입니다. 전산세무 2급의 이론시험 역시 1급과 마찬가지로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회계로 나누어집니다. 실무시험의 경우 재무회계와 원가회계의 초기이월과 거래자료 및 결산자료 입력, 부가가치세 매입/매출거래자료 입력 및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작성 및 전자신고, 원천제세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전산세무 1급과 2급 모두 이론시험의 비중은 30%, 실무시험의 비중은 70%이며, 시험시간은 총 90분이 주어집니다. 이론시험은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실무시험은 세무사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4. 합격기준 및 응시가격

전산회계와 전산세무 모두 합격기준은 같습니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이론시험 30%와 실무시험 70%를 합산하여 70점 이상 취득할 시 합격기준에 충족하게 됩니다. 이론시험의 경우 15문항이 출제되는데, 15문제를 다 맞출 시 30점이라는 점수를 가져가게 됩니다. 실무에서는 미약한 차이로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론시험에서 점수를 많이 챙겨가야 합니다. 응시가격의 경우 전산회계와 전산세무 급수 상관없이 30,000원의 응시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자격증 발급비가 별개로 5,000원 발생하기 때문에 총 35,000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5. 전산세무회계 자격증의 필요성

기업의 사무직 채용 시 우대사항이나 필수사항에 전산세무회계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 뜻은 현재 취업시장에서는 필수 자격증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정보화 시대에 맞춰 회계, 세무, 원가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능력을 이론과 실무로 나누어 평가하는 자격증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데 필요한 자격증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보통 기업의 경리직, 회계직, 재무직 등의 분야에서 요구하는 자격증이며, 중소기업과 중견기업니나 공공기관 등에서 요구하는 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또한 이직과 승진 시 우대사항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전산세무회계 자격증은 한국세무사회에서 주최하는 국가공인자격증에 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