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중. 고 학생을 둔 학부모라면 교육비 부담을 덜어줄 다양한 정부 및 지자체 지원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비 지원부터 급식비, 교재비, 통학비까지 폭넓은 혜택에 제공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부모와 학생이 꼭 알아야 할 초. 중. 고 교육 지원금을 5가지로 나누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육급여 : 저소득층 가정의 교육비 지원 프로그램
교육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학습 비용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입니다. 신청하면 교재비, 학용품비, 수업료 등을 지원받을 수 있어 저소득 가정의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가그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4년 기준 초등학생은 연 415,000원, 중학생은 연 588,000원, 고등학생은 연 654,000원이 지원됩니다. 고등학생은 예외적으로 교과서 대금 및 입학금과 수업료를 추가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혹은 주민센터 방문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소득 기준 심사 후 지원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2. 방과 후 학습을 위한 자유수강권 지원금
초.중.고 학생들이 방과 후 프로그램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지원금을 통해 예체능, 외국어, 코딩, 독서 등 다양한 교육을 추가 비용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정의 학생,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학생 1인당 연 최대 60만 원 지원이 가능하며, 학교별 방과 후 프로그램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교육비 원클릭 신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과 후 자유수강권 신청 후 학교 승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3. 무상급식 및 무상교육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무상교육과 무상급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가계 부담 역시 줄일 수 있습니다. 전국의 모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지원 대상이며, 고등학교의 경우 2021년부터 전면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무상교육의 경우 고등학교 입학금, 수업료, 학교 운영비를 전액 지원합니다. 무상급식의 경우 점심 급식비를 전액 지원합니다.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학교에서 일괄 처리해 주는 경우가 많아 사전에 준비할 사항은 없습니다.
4. 저소득층 가구를 위한 추가 지원금
교육부에서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의 학생이 지원 대상이며, 특수교육 대상자, 다자녀 가정도 일부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으로는 입학금 및 수업료 지원, 교과서 대금 지원, 방과 후 활동비 지원, 인터넷 통신비 감면 지원이 있습니다. 복지로 또는 교육비 원클릭 시스템에서 온라인 신청을 하면, 해당 학교에서 심사 후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5. 교복비 지원 : 신입생을 위한 필수 지원금
고등학교와 일부 중학교 입학생들에게 교복비를 지원하여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지역에 따라 지원 금액과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신입생 중 교육급여 수급자가 지원 대상이며, 지역별 지원 정책에 따라 차등 지급하고 있습니다. 서울, 경기, 부산에서는 1인당 30만원 내외로 지급되며, 기타 지역에서는 지자체별로 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입생 등록 후 학교에서 안내받아 신청을 진행할 수 있으며, 지자체별 복지 사이트 또는 주민센터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학비, 급식비, 방과 후 교육비, 교복비까지 다양한 범위에서 교육 지원금이 지원됩니다. 해당되는 가구라면 적극적으로 신청하여 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자체 및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자신 혹은 자녀에게 맞는 지원금을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